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항공정보 매뉴얼
- jeppsen airway manual
- 우엥
- 검댕스
- 공부
- jeppesen airway manual
- https://www.law.go.kr/법령별표서식/(항공안전법 시행규칙
- 검댕이
- 항공기상서비스 사용자 안내서
- 별표15)
- Glossary
- 조종사표준교재
- 한국학중앙연구원)
- 저산소증
- 조종사표준교재 항공기상
- jeppsen
- 매뉴얼
- [네이버 지식백과] 기압에 대하여 [atmospheric pressure] (기상백과 기상청)
- 세화 항공법규
- 표준교재 기상
- 표준교재
- Jeppesen
- 에어웨이
- [네이버 지식백과] 일교차 [日較差]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20231019
- 공중항법
- Manual
- 잽순
- airway
- Today
- Total
PLT2427
설빙고시보 작성요령, 항공정보 및 항공지도 등에 관한 업무기준 별표4 본문
1. 일반 사항
가. 2본이상의 활주로에서 보고받는 경우, B부터 H까지(항공기 성능 부분)의 항목을 반복하여 기재한다.
나. 항목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문자들은 참조용으로만 사용되어야 하며 메시지에는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 M(Mandatory), C(Conditional), O(Optional) 문자들은 사용법을 나타내며, 정보는 다음의 설명에 따라 기재되어야 한다.
다. 미터법을 사용하여야 하며 측정단위는 생략한다.
라. 설빙고시보의 최대 유효기간은 8시간이다. 신규 설빙고시보는 새로운 활주로 상태 보고가 접수된 경우 발행해야 한다.
마. 설빙고시보는 이전 설빙고시보를 취소시킨다.
바. 설빙고시보를 전산(DB)처리하는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두문 약어 "TTAAiiii CCCCMMYYGGgg(BBB)"를 사용한다. 약어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TT : 설빙고시보를 나타내는 부호 "SW"
2) AA : 국가부호(예를 들면, "RK"는 대한민국, "EG"는 영국 등)
3) iiii : 4자리 숫자그룹의 설빙고시보 일련번호
4) CCCC : 설빙고시보 발행대상 비행장의 4자리문자 위치부호(Doc 7910, 위치부호 참조)
5) MMYYGGgg : 관측일시(UTC로 월, 일, 시 및 분 단위까지)
6) (BBB) :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항목,
수정할 경우, 실수한 경우, 동일 일련번호로 이미 배포된 설빙고시보의 메시지 = COR
주1 : (BBB)에서 괄호는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됨
주2 : 2본이상의 활주로에서 보고하고, 개별 관측/측정 날짜/시간을 항목 B를 반복하여 기입하는 경우, 가장 최근의 관측/측정 날짜/시간을 간소화된 두문 약어(MMYYGGgg)로 반복한다.
Example: Abbreviated heading of SNOWTAM No. 149 from Zurich, measurement/observation of 7 November at 0620 UTC:
SWLS0149 LSZH 11070620
주 : 상기와 같이, 정보그룹은 공백(space)로 분리한다.
사. SNOWTAM 메시지의 가독성을 위해 SNOWTAM 일련번호 뒤, 항공기 성능란 뒤에는 한 줄을 비운다.
아. 2본 이상의 활주로에 대하여 보고하는 경우, 항공기 성능 계산란에서 각 활주로의 평가 날짜와 시간 아래를 반복한다. (상황 인식 항목 전까지)
2. 항공기 성능 계산란
가. 항목 A - 비행장 위치 부호(4개 문자 위치 부호)
나. 항목 B - UTC 기준 관측 월, 일, 시 분을 나타내는 8자리 숫자그룹
다. 항목 C - 낮은 숫자의 활주로 번호(nn[L] 또는 nn[C] 또는 [R])
주: 한 활주로에는 1개의 활주로 번호가 기재되며, 항시 가장 낮은 번호를 기재한다.
라. 항목 D - 3분할한 활주로 각 부분에 대한 상태 코드 - 1자리 숫자(0, 1, 2, 3, 4, 5, 6)를 사선으로 분리하여 3곳의 구역에 기재(n/n/n)
마. 항목 E - 3분할한 활주로 구역의 비율. 비율이 제공되는 경우, 25,50,75,100으로 표시하고 사선으로 분리 표기([n]nn/[n]nn/[n]nn)
주1 - 이 정보는 각 분할 구역의 상태(항목 D)가 6 이외로 보고되고, 활주로 분할 구역의 상태가 마름(DRY) 이외로 보고된 경우에만 제공된다.
주2 - 활주로 상태가 보고되지 않은 경우, 해당 활주로 분할 구역에 대하여 "NR"을 삽입하여 강조한다.
바. 항목 F - 활주로 각 분할 구역의 소량 오염물질의 깊이가 제공된 경우, 각 구역에 대항 오염물질의 깊이를 mm 단위로 기입하고 사선으로 분리하여 표기(nn/nn/nn 또는 nnn/nnn/nnn)
주1 - 이 정보는 다음 종류의 오염에 대해서만 제공된다.
고여있는 물 : 04로 보고한 뒤, 이후 측정값 보고. 3~15mm 범위의 상당한 변화
진창눈 : 03으로 보고한 뒤, 이후 측정값 보고. 3~15mm 범위의 상당한 변화
젖은 눈 : 03으로 보고한 뒤, 이후 측정값 보고. 5mm의 상당한 변화
마른 눈 : 03으로 보고한 뒤, 이후 측정값 보고. 20mm의 상당한 변화
주2 -상태가 보고되지 않는 경우, 해당 활주로 구역에 "NR"을 삽입하여 강조
사. 항목 G - 각 활주로 구역에 대한 상태 설명. 활주로 구역에 대하여 다음의 상태들을 표기하고 사선으로 분리 표기
COMPACTED SNOW
DRY SNOW
DRY SNOW ON TOP OF COMPACTED SNOW
DRY SNOW ON TOP OF ICE
FROST
ICE
SLUSH
STANDING WATER
WATER ON TOP OF COMPACTED SNOW
WET ICE
WET SNOW
WET SNOW ON TOP OF COMPACTED SNOW
WET SNOW ON TOP OF ICE
DRY (only reported when there is no contaminant)
아. 항목 H - RWYCC가 적용되는 활주로의 폭. 공시된 활주로 폭보다 좁은 경우, 미터 단위의 폭으로 기재
3. 상황인식란
주1 - 상황인식란의 요소들은 마침표로 끝마친다.
주2 - 상황인식란의 항목 중 정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공고할 상황 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 그 항목은 비워둔다.
가. 항목 I - 활주로 길이 단축. 적용 가능한 활주로 지정자와 사용 가능한 길이를 미터 단위로 표기(RWY nn[L] or nn [C] or nn[R] REDUCED TO [n]nn)
주 - 이 정보는 NOTAM에 일련의 신규 공표된 거리가 포함될 때에만 적용한다
나. 항목 J - 활주로 상의 날림눈이 보고된 경우 "DRIFTING SNOW"로 표기
다. 항목 K - 활주로 상의 옅은 모래 정보가 보고된 경우, 가장 낮은 활주로 지정자 뒤에 한 칸 비우고 "LOOSE SAND"로 기재(예 RWU nn or RWY nn[L] or nn)
라. 항목 L - 활주로 상에 화학처리가 적용되고 있다고 보고받은 경우, 가장 낮은 활주로 지정자를 쓰고 한 칸 비우고 "CHEMICALLY TREATED"로 표기(예 RWY nn or RWY nn[L] or nn[R] CHEMICALLY TREATED)
마. 항목 M - 활주로상에 상당한 눈더미가 보고된 경우, 활주로 지정자를 쓰고 한 칸 비우고 "SNOWBANK"를 기재한 뒤, 좌측은 "L" 우측은 "R", 양쪽은 "LR" 중심선으로부터의 거리를 m로 표기하고 FM CL로 구분하여 표기
바. 항목 N - 유도로 상의 눈더미가 보고된 경우, 유도로 지정자를 쓰고 한 칸 비우고 "SNOWBANK"를 기재한 뒤, 좌측은 "L" 우측은 "R", 양쪽은 "LR" 중심선으로부터의 거리를 m로 표기하고 FM CL로 구분하여 표기
사. 항목 O - 활주로 인근의 눈더미가 비행장 제설계획의 높이 경계를 넘는 것으로 보고된 경우, 가장 낮은 활주로 지정자와 "ADJ SNOWBANK"를 기재
아. 항목 P - 유도로 상태가 미끄럽거나 나쁜 상태로 보고된 경우, 유도로 지정자를 쓰고 한 칸 비우고 "POOR"로 표기
자. 항목 R - 계류장 상태가 미끄럽거나 나쁜 상태로 보고된 경우, 계류장 지정자를 쓰고 한 칸 비우고 "POOR"로 표기
차. 항목 S - 측정된 마찰계수가 보고된 경우, 마찰 계수와 마찰 측정 장비를 기재
주- 이것은 국가가 승인한 측정 장비를 활용하는 활주로 마찰 측정 프로그램을 수립한 경우 해당한다.
카. 항목 T - 일반적인 의견
< 눈의 형태에 대한 정의 > 1. 진창 눈(slush) : 뒷발의 발끝이 땅에서 떨어지기 전에 앞발의 뒤꿈치가 땅에 닿는 정도의 걸음걸이로 밟았을 경우, 물에 젖은 눈이 철벅거리며 채워지는 정도로 질퍽질퍽한 상태(비중 : 0.5∼0.8) 주.- 얼음, 눈 및/또는 고인 물이 섞여 있을 경우, 특히 비, 비와 눈, 또는 눈이 내릴 때 비중 0.8 이상의 물질이 생성된다. 이러한 물질은 물/얼음의 함유량이 많기 때문에 흐릿하지 않고 투명하며 더 높은 비중에서 진창과는 확실히 구별된다. 2. 눈(snow)(지상에서) 가. 마른 눈(dry snow) : 떨어뜨렸을 때 흩날리거나 또는 손으로 움켜쥐었다가 놓았을 때 다시 부서지는 정도의 눈(비중 : 0.35 미만) 나. 젖은 눈(wet snow) : 손으로 움켜쥐었을 때 덩어리로 뭉쳐지는 정도의 눈(비중 : 0.35∼0.5 미만) 다. 압설(compacted snow) : 한번 압축시키면 고체로 되어 더 이상 압축시킬 수 없는 상태가 되어 그대로 있거나 또는 집어 들었을 때 한 덩어리로 분리되는 정도의 눈(비중 : 0.5 이상) |
[SNOWTAM 양식 작성 예시]
예시) SNOWTAM 1
GG EADBZQZX EADNZQZX EADSZQZX
070645 EADDYNYX
SWEA0149 EADD 02170055
(SNOWTAM 0149
EADD 02170055 09L 5/5/5 100/100/100 NR/NR/NR WET/WET/WET)
예시) SNOWTAM 2
GG EADBZQZX EADNZQZX EADSZQZX
070645 EADDYNYX
SWEA0149 EADD 02170135
(SNOWTAM 0150
EADD 02170055 09L 5/5/5 100/100/100 NR/NR/NR WET/WET/WET
EADD 02170135 09R 5/4/3 100/50/75 NR/06/06 WET/SLUSH/SLUSH)
예시) SNOWTAM 3
GG EADBZQZX EADNZQZX EADSZQZX
070645 EADDYNYX
SWEA0149 EADD 02170225
(SNOWTAM 0151
EADD 02170055 09L 5/5/5 100/100/100 NR/NR/NR WET/WET/WET
EADD 02170135 09R 5/4/3 100/50/75 NR/06/06 WET/SLUSH/SLUSH
EADD 02170225 09C 3/2/1 75/100/100 06/12/12 SLUSH/WET SNOW/WET SNOW
RWY 09L SNOWBANK R20 FM CL. RWY 09R ADJ SNOWBANKS. TWY B POOR. APRON NORTH POOR)
예시) SNOWTAM 4
GG EADBZQZX EADNZQZX EADSZQZX
070645 EADDYNYX
SWEA0149 EADD 02170345
(SNOWTAM 0152
EADD 02170345 09L 5/5/5 100/100/100 NR/NR/NR WET/WET/WET
EADD 02170134 09R 5/4/3 100/50/75 NR/06/06 WET/SLUSH/SLUSH
EADD 02170225 09C 3/2/1 75/100/100 06/12/12 SLUSH/WET SNOW/WET SNOW 35
DRIFTING SNOW. RWY 09L LOOSE SAND. RWY 09R CHEMICALLY TREATED. RWY 09C CHEMICALLY TREATED.)
'오답노트 > AIM'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교통관제절차 2-1-15. 관제이양 (1) | 2024.06.04 |
---|---|
출발예정시간의 변경 보고 (0) | 2024.06.04 |
FAA AIM 4-5-1 레이더 (0) | 2024.06.04 |
FAA AIM 4-3-25. Hand Signals,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별표26 (0) | 2024.06.04 |
활주로 상태와 관련된 용어 (1) | 2024.06.04 |